본문 바로가기

이 슈 칼 럼/사회&문화

[이슈/의학]올해 첫 수족구병 사망자 발생

 

올해 첫 수족구병 사망자 발생

 

 올해 들어 첫 수족구병 사망 환자가 발생했다. 질병관리본부와 울산시는 13일 울산 울주군에 사는 31개월 된 여자아이가 지난 7일 고열과 두통, 구통,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여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당일 밤 사망했다고 밝혔다.

 

 수족구병으로 국내에서는 매년 1~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. 이 병은 신경계 합병증도 동반한다.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A16’ 또는 엔테로바이러스71’ 등의 장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. 가벼운 열이 생기고 혀와 잇몸·뺨 안쪽 점막과 손발에 빨갛게 선이 둘린 작은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.

 

 

대체 수족구병이란 무엇인가?

 

 수족구병(hand-foot-and-mouth disease)은 주로 콕사키 바이러스 A16 또는 엔테로 바이러스 71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으로,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며 입 안의 물집과 궤양,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수족구병 발병위치

 

 

 대개는 가벼운 질환으로 미열이 있거나 열이 없는 경우도 있다. 입 안의 인두는 발적되고 혀와 볼 점막, 후부인두, 구개, 잇몸과 입술에 수포가 나타날 수 있다. 발진은 발보다 손에 더 흔하며 3~7mm 크기의 수포성으로 손바닥과 발바닥보다는 손등과 발등에 더 많다.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발진이 나타날 수 있고, 엉덩이에 생긴 발진은 대개는 수포를 형성하지 않는다. 수포는 1주일 정도가 지나면 호전된다.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

,발의 수포성 발진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입 속 수포성 발진

 

 그러나 심한 경우 무균성 수막염이나 뇌염 등이 발생해 면역체계가 아직 발달되지 않은 신생아가 걸리면 사망할 가능성이 있다.

 

 코와 목의 분비물, , 그리고 물집의 진물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므로 환자와 접촉한 후 손을 잘 씻어야 한다. 질병관리본부는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즉각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. 그러므로 수족구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.

 

사진출처 : 네이버 건강

본문참조 : 동아일보, 중앙일보, 경향신문, 네이버 건강